취리히에서 호수가 보이는 더 저렴한 방으로 이사하다

이미지
최근 같은 숙소 내에 다른 방으로 이사를 했어요. 장점이 많은 방에 살고 있었지만 굳이 이사한 이유와 현재 살게된 방에 대해 소개해볼게요. 처음 살았던 발코니가 있는 방 제가 살고 있는 학생숙소에는 5가지 타입의 방이 있어요.  제가 학생숙소에 처음 들어왔을 때 배정받은 방은 view 타입의 방 이었습니다. view와 standard의 방 넓이는 12㎡로 동일해요. 하지만 view 타입의 방에는 발코니가 있고, 그래서 더 비쌉니다.  운이 좋게 제가 배정받은 방은 구석에 위치해서 면적이 기준보다 더 넓은 것 같았어요. 이건 제가 같은 크기의 다른 방을 둘러보면서 '평수가 잘 빠진 거였구나' 하고 알게 되었답니다. 또 다른 방들과 동떨어져 있어서 생활소음이 거의 없었고 화장실과 샤워실이 가까운 것도 장점이었습니다. 무엇보다 발코니로 나갈 수 있는 큰 유리문과 창문이 또 하나가 더 있어 전체적으로 탁 트인 느낌이 들고 채광이 좋은 것이 장점이었어요. 발코니로 보이는 뷰는 뒷마당이라 큰 나무와 꽃들이 있어서 초록초록한 뷰였습니다. 가끔식 침대에 누워 발코니 밖을 보며 멍 때리는 것도 하나의 즐거움이었어요. 하지만 저는 얼마 지나지않아 매니저에게 방을 옮기고 싶다고 말하게 되는데요... 이사하고 싶었던 이유 첫째는 발코니의 무쓸모 때문이었어요. 발코니가 보기에는 참 좋습니다. 처음에는 발코니에 앉아 커피도 마시고 브런치도 먹는 상상을 했었는데요. 일단, 발코니에 기본적으로 놓여진 의자가 2개 있었는데 이 의자들이 참으로 불편하고 별로였어요. 그래서 한 번도 앉아보지도 않았습니다. 물론 제가 테이블과 의자를 사서 놓아둘수도 있지만... 굳이..?  그리고 뒷마당에 나무와 꽃, 풀이 많아서인지 날벌레들이 정말 많았어요. 특히 호박벌이 가끔식 유리문을 퉁퉁 박고 가기도 했습니다. 유럽의 건물들은 한국과 달리 방충망이 없기 때문에 오랫동안 문을 활짝 열어놓기 어려운데요. 날벌레까지 많으니 벌레를 싫어하는 저는 문을 열어둘 엄두도 못 냈어요. 발코니...

ASVZ 운동 종목 Muscle pump 추천, 등록 방법과 꿀팁

이미지
저는 요즘 ASVZ의 스포츠 프로그램인 Muscle Pump에 흥미를 붙여서 재밌게 운동하고 있어요. 스포츠센터도 처음 한 번 가보는게 어렵지 그 다음은 아무 것도 아니더라고요. 저도 한 학기 내내 ASVZ 홈페이지만 들락날락하다 방학동안 체력도 기를 겸 용기내 세션을 하나, 둘 신청해봤어요. 결과는 아주 대만족입니다. 그럼 자세한 내용 공유해볼게요! ASVZ란? ASVZ는 '취리히 학술 스포츠 협회(Akademischer Sportverband Zürich)'의 약자로, 취리히에 있는 여러 대학교의 학생, 교직원, 졸업생을 위한 종합 스포츠 프로그램이에요. 취리히 시내 곳곳에 스포츠센터가 있고 유산소/근력 운동을 하거나 스포츠 종목을 배우고 즐길 수 있습니다. 취리히 대학생의 경우 등록금에 Academic Sports Association 명목으로 35프랑이 포함되어 있어요. 엄밀히 말하자면 무료는 아니지만 35프랑, 약 6만원으로 한 학기 내내, 방학동안에도 131개 스포츠 종목을 이용할 수 있으니 저는 무료와 다름 없는 혜택이라고 생각합니다.   Muscle Pump 특징 Muscle Pump의 특징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아요.  바벨과 스텝박스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 2명의 트레이너가 50분간 진행(1명이 25분간 번갈아 진행) 준비운동, 스트레칭 모두 포함 신나는 노래를 크게 들어놓고 진행함 나에게 맞는 무게로 운동 가능 매일, 하루에도 여러 회차 진행됨 저는 주 3회(월, 수, 금) 오전 7시 또는 10시 타임 Muscle pump 세션에 정기적으로 가고 있어요. 같은 시간대라도 트레이너는 고정적이지 않고 매번 변경됩니다. 그래서 각 트레이너별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따라갈 수 있고, 매 시간 운동 동작들이 달라서 지겹지가 않았어요.   대부분은 독일어로 진행 되지만 가끔씩 영어로도 ...

공부가 어렵다면 취리히 대학교 석사 버디를 만나보자

이미지
취리히 대학교 석사 버디를 만나고 왔습니다. 저와 같은 석사과정을 받는 선배님을 만나고 많은 조언을 얻고 왔어요.  이전에 취리히 대학교 석사 유학생이 여름방학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대한 글에서 공부방식에 대해 잠깐 언급을 했었죠. 나름 열심히 공부했다고 생각했는데 fail을 했던 한 과목 때문에 제가 해오던 공부방식이 잘못된 건 아닐까 많이 고민했거든요.  아무래도 스위스의 수업방식이나 학습방식과 잘 맞지 않았던건가 하고요. 그래서 해외에서 공부중인 학생들의 공부법에 대해 유튜브도 많이 찾아보고 ChatGPT와도 상담을 해봤는데 속시원히 풀리지 않는 부분이 있었어요.  취리히 대학교 석사 버디 제도 석사 버디(MSc Buddies)는 신입 석사생(특히 학부가 취리히 대학교가 아닌 석사생)들이 Informatics 과정을 진행하면서 궁금한 것이 있다면 편하게 문의할 수 있는 대상인데, 쉽게 말하자면 같은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선배님들입니다. 학사과정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있을 때 공식적인 문의처가 학사과라면 비공식적 문의처가 바로 이 버디들인 셈이죠. 같은 과정을 먼저 겪었던 학생들이기 때문에 학생의 입장에서 가능한 조언을 해준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석사 버디가 모든 단대에 존재하는지는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속한 IFI(Institute for Informatics) 단대에는 IFI MSc Buddies 제도가 있어요. 학기 초에 welcome event에 갔을 때 이 제도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최근에 다시 번뜩 생각이 났죠! 그래서 버디 중 한 명에게 메일을 보냈습니다. 홈페이지에 공개된 버디는 2명인데요. 저는 둘 중에 Ann-Kathrin에게 연락했어요. 참고로 다음 학기부터는 학교에 없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석사 버디에게 연락할 때는 나의 소개 먼저! 버디가 맞춤 조언을 해줄 수 있도록 나에 대해 최대한 많은 정보를 간단명료하게 메일에 작성 해주는게 좋습니다. 이름 전공과 부전공 requirements 이수 현황 고민거리 ...

ETH 학생이 아니라도 수업을 무료로 들을 수 있는 방법 (ETH special student 신청)

이미지
Special Student란? Special student는 쉽게 말해 ETH(스위스 연방공과대학교)의 정식 입학생은 아니지만 ETH의 수업을 듣거나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학생을 말해요.  정확히 말하자면, ETH Zurich(스위스 연방공과대학교)와 공식 협정을 맺은 대학의 일부 학생 및 박사과정 학생, 보험계리사 또는 측량사 과정의 학생이라면 special student로 등록할 수 있어요.  Special studoent 신청 대상 저는 입학 전부터 이 사실을 알고 있었고 취리히 대학교에 입학하면 꼭 신청해서 ETH 수업을 들어봐야지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이번에 special student 신청을 마쳤고, 다음 학기부터는 ETH 수업을 듣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취리히 대학교, ETH는 취리히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캠퍼스도 서로 굉장히 가까워서 다른 대학교보다 취리히 대학교 학생들에게 엄청난 혜택이라고 생각해요.  이쯤되면 스위스 대학교에 지원할 때 왜 ETH가 아닌 UZH(취리히 대학교)를 갔냐는 의문이 들텐데요. 사실 ETH에는 지원할 엄두도 내지 못했어요. ETH가 엄청난 명문대이기도 하고 학부전공과 석사전공이 다른 학생은 뽑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입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ETH(스위스 연방공과대학교) 그러면 ETH가 얼마나 명문대인지 한 번 알아보죠. ETH는 아인슈타인의 출신학교로도 유명합니다. ETH는 2025년 QS World University ranking 기준 세계 7위를 차지했어요. 세계 공과대학 기준 5위, 유럽 지역 기준 1위에 랭크되는 학교입니다. 유럽의 MIT라고 불리는 이유를 아시겠죠? Special Student 혜택 첫째, ETH의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 물론 일부 과목은 본교학생을 우선시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과목이라면 어떤 과목이든 들을 수 있어요.  ...

스위스 AI 석사 유학생이 첫 여름방학을 보내는 방법

이미지
" 스위스 AI 석사 유학생이 첫 여름방학을 보내는 방법 " 제목이 거창한만큼 방학을 효율적으로 보내는 방법에 대한 글이었으면 좋겠지만, 사실 이 글은 긴긴 여름 방학을 어떻게 보내야할지 고민 가득한 글이 되겠습니다. 3.5개월의 긴긴 여름방학 취리히 대학교는 6월~7월에 봄학기 기말고사를 치고 9월 중순에 가을학기 개강을 해요. 저는 시험에 6월 초에 일찍 끝난 편이라 여름 방학이 3.5개월이나 되었습니다. 그래서 계획에 없던 한국행도 급 결정했던 것이었어요. 여름방학은 길지만 반대로 겨울방학은 한 달 남짓으로 굉장히 짧거든요.  첫 한 달은 한국에서 꿀같은 휴식 일단 첫 한달 간은 한국에서 호사스럽게 지냈습니다. 스위스에서 영어와 독일어 때문에 듣는 것도 말하는 것도 참 답답한 일이 많은데요. 한국에 있는 동안은 정말 귀가 뻥뻥 뚫린 느낌! 소통에 아무 문제가 없다는 그 편안함과 안락한 집, 엄마가 해주는 맛있는 집밥, 유학생에게 이보다 더 좋은 건 없어요.  덕분에 몸무게는 급속도로 불어났고 스위스에서 지켜오던 공부 루틴도 모두 망가져버렸습니다. 제가 한국에 갔을 때가 딱 장마철이었고, 짧은 장마가 끝나자마자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었어요. 날씨 때문에 더 나태해진 것도 있어요.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나니까 대부분의 시간은 그냥 누워서 폰을 보거나 잠을 자게 되더라고요.  사실 부모님은 비행 일정을 바꿔서 더 있다 가라고 하셨고 저도 많이 흔들렸지만, 더욱 나태해질 것만 같아 원래 일정대로 스위스에 돌아왔습니다. 남은 방학은 다음학기 준비 지난 학기 돌아보기 스위스에 돌아오니 진짜 현실로 돌아온 느낌이었어요. 한국에 있던 시간이 마냥 꿈 같았습니다.  사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지난 학기에 한 과목을 fail했어요. 첫 학기라 4과목 밖에 안 들어서 상대적으로 공부할 시간도 많았고 나름 열심히 공부했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성적이 안 좋거나 fail한 과목이 생겨서 개인적으로는 좀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이 사실이 때문에...

한 학기만에 데이터 사이언스에서 인공지능으로 전공 변경

이미지
취리히 대학교 데이터 사이언스 석사 프로그램에 합격했다고 기뻐하며 글을 올렸던 것이 7개월 전인데요. 첫 학기가 끝나자마자 전공을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 DS)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으로 바꾸었습니다.  첫 학기만에 전공을 바꾸게 된 배경와 그 방법에 대해 자세히 말해볼게요. Artificial Intelligence로 전공을 변경한 이유 전공을 변경한 이유에 드라마틱한 사연이 있거나 반전이 있는건 아니구요. 여전히 제가 하고 싶은 것은 데이터 사이언스입니다.  일단, 한 학기 동안 학교를 직접 다녀보면서 취리히 대학교 Informatics 석사 프로그램의 특성과 방향성을 알게 되었고 여기서 제가 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히 해야겠다고 느꼈어요. 참고로 데이터 사이언스는 통계학(Statistics)과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가 융합된 학문인데요. 베이스를 둘 중 어느 학문에 더 비중있게 두느냐에 따라 커리큘럼이 석사 프로그램마다,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취리히 대학교의 데이터 관련 석사 프로그램은 Faculty of Business, Economics and Informatics의 Informatics 소속이에요. 그래서 컴퓨터과학의 비중이 큽니다. 석사과정 시작 전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학부 수업들이 있는데 software engineering에 대한 과목이 많기도 합니다. (필수 학부수업의 경우, 개인별 학부전공이나 이수한 과목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제가 컴퓨터공학 베이스가 부족해서 관련 수업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제 자신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자면, 저는 아직 관심있는 도메인이 명확하지 않아요. 학부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긴 했지만 굳이 도메인을 학부시절 전공에 한정하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다른 도메인도 체험해보자고 결심했거...

스위스 유학생이 한국에서 챙겨가는 것들

이미지
스위스 유학이 결정되고 처음 스위스에 넘어갈 때 이민가방 1개, 큰 개리어 1개, 기내용 손가방까지 해서 총 54kg의 짐을 싸들고 왔는데요. 처음에는 어떤 걸 가져왔는지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스위스 유학생 54kg 짐 목록 바로가기 모든 살림살이를 가져오고 싶었지만 수하물 규정도 있고, 제가 들고 이동할 수 있는 짐도 한계가 있어 원하는 모든 걸 다 가져오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생활하면서 '이게 있었다면'하고 아쉬운 것들이 그립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여름 방학 때 한국에 가면서 또 캐리어 하나 가득 바리바리 짐을 싸왔는데요. 이번에는 큰 캐리어 1개, 기내용 손가방 1개 해서 28kg 정도 짐을 싸왔습니다 . 혹시나 유학 짐을 싸다가 캐리어에 공간 여유가 있다!(그럴 일은 거의 없겠지만) 하신다면 고려해보셨으면 해서 리스트를 공유해봐요. 이건 필수품이라기보다는 기호품에 가깝고 제 개인적인 취향도 반영된 거니까 이 점 참고해주세요! 그리고 전부 내돈내산 입니다! 스위스 유학생이 한국에서 챙겨가는 것들 전기장판 사실 전기장판은 스위스에서 겨울을 나기 위한 필수품이죠. 그런데 제가 처음에 안 챙겨갔던 이유는 스위스는 230V라 어댑터를 따로 사용해야 하는데 이 때 전열기구는 잘 고장날 수 있다고 들었거든요. 독일 아마존에서 구입하면 가격도 많이 안 비싸고 짐도 줄일 수 있다고 해서 현지에서 구매할 생각으로 그냥 왔습니다. 하지만 드라이기나 다른 전열기구를 써보니 고장나지 않고 잘 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 1인용 작은 전기장판 하나 그냥 가져왔습니다. 집에 있는데 현지에서 또 사는 건 아깝잖아요. 멀티쿠커 제가 제일 잘 가져왔다고 생각하는 베스트 1위, 바로 멀티쿠커입니다. 멀티쿠커와 유사품목으로 많은 한국분들이 1인용 밥솥을 들고 갈까 말까 많이 고민하실텐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