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을 준비할 때 가장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보조배터리와 리튬배터리의 반입 규정이에요. 특히 전자기기를 많이 들고 다니는 요즘, 배터리 반입 규정은 필수로 알아야 할 정보죠. 오늘은 위탁수하물과 기내 반입 시 리튬배터리와 보조배터리 규정을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리튬배터리, 위탁수하물로 보낼 수 있을까?
전자기기에는 대부분 리튬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죠. 대표적인 예로는 카메라, 시계, 선풍기 등이 있는데, 이런 장비에 부착된 리튬배터리는 160Wh 이하일 경우에만 위탁수하물로 보낼 수 있어요. 즉, 배터리가 기기에 부착된 상태라면 위탁수하물로도 가능하고, 기내에 들고 타는 것도 가능해요.
하지만 중요한 점은 리튬배터리 용량이 160Wh를 넘으면 위탁수하물로 보내는 것은 절대 금지입니다. 용량이 큰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있어서 항공사들이 이를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어요.
보조배터리는 무조건 기내로 들고 타세요!
보조배터리는 특히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부분인데요. 보조배터리는 용량에 상관없이 위탁수하물로 보낼 수 없고, 반드시 기내에 들고 타야 합니다. 이는 보조배터리의 특성상 화재나 폭발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정해진 규정이에요.
혹시 실수로 위탁수하물에 넣었다가 걸리면 문제가 될 수 있으니, 미리 챙겨서 꼭 기내로 가지고 가세요.
![]() |
국토교통부의 리튬 배터리 휴대, 위탁수하물 항공운송 기준 @국토교통부 항공운항과 |
보조배터리 용량 기준은?
국토부 규정에 따르면, 100Wh 이하 보조배터리는 기내 반입이 가능해요. 하지만 100Wh에서 160Wh 사이의 용량을 가진 보조배터리는 항공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 1인당 2개까지 허용된답니다.
그러면 100Wh 이하의 배터리를 여러 개 들고 탈 수 있느냐고요?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너무 많은 배터리를 들고 타면 항공사의 재량에 따라 반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너무 과한 양은 자제하는 게 좋아요.
만약 큰 용량의 리튬배터리를 가지고 가야 한다면, 미리 항공사에 문의해보세요. 규정을 잘못 이해한 채 공항에 가면 보안 검색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기분 상할 수 있잖아요. 특히 대용량 배터리는 규정이 더 엄격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하고 출발하는 게 좋아요.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하는 법
자, 내 보조배터리 용량이 기내 반입 가능한지 궁금하실 거예요. 보통 보조배터리에는 mAh(밀리암페어시) 단위로 용량이 표시되어 있어요. 예를 들어, 10000mAh라고 적혀 있다면, 이걸 Wh로 바꿔볼게요.
계산 방법:
Wh(와트시) = Ah(암페어시) × V(볼트)
이때 1000mAh는 1Ah로 환산됩니다. 예를 들어 10000mAh 보조배터리는 10Ah가 되죠. 배터리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대개 3.7V나 3.8V로 표시돼요. 그러면 10Ah × 3.8V = 38Wh가 됩니다. 이런 계산을 통해 100Wh 이하라는 걸 알 수 있죠.
이 보조배터리는 당연히 기내에 반입 가능하겠죠?
V값이 안 보일 때는?
혹시 배터리에 V(볼트)값이 안 적혀 있다면, 대개 3.8로 곱해 계산하면 돼요. 대부분의 리튬 배터리는 3.6V에서 3.8V 사이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 범위를 참고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여행 전 보조배터리 용량을 꼭 확인하고, 항공사의 반입 규정을 미리 체크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렇게 사전에 준비하면 여행 중 불편 없이 필요한 전자기기들을 마음껏 사용할 수 있어요. 특히, 기내에서 쓸 배터리나 충전기기는 미리 잘 챙겨서 즐거운 여행길을 만드세요!
댓글 쓰기